MEDIA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분들과 함께하는 메이트네트웍스에
많은 분들의 지원 부탁드립니다.

미디어

보도자료

언론홍보 자료 및 최신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목록으로   
캠톡, 여성 캠톡커 증가세…”손 쉬운 진입장벽으로 수익 기대”
240527_244097_2933.png

영상 기반 K-소셜앱 ‘캠톡(Camtalk)’이 최근 여성 크리에이터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며 새로운 소셜 플랫폼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캠톡 측은 기존 크리에이터 플랫폼들이 높은 진입장벽으로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참여가 제한적인 반면, 누구나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여성 사용자층의 폭넓은 유입을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캠톡에 따르면 3월 한 달간 신규 여성 크레이이터 수는 전달 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 중인 여성 캠톡커들 사이에서는 “영상통화를 통해 팬들과 쉽게 연결되고, 꾸준히 콘텐츠를 만들며 나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해갈 수 있어 진입이 부담스럽지 않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캠톡은 기존 플랫폼들이 ‘팔로워 기반 유료화 모델’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초기 팬덤 없이도 누구나 활동을 시작하고 실시간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캠톡 앱의 개발 운영사 메이트네트웍스 전우호 대표는 “기존 플랫폼은 유명세가 있거나 팔로워가 수만 명 이상 있어야만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지만, 캠톡은 ‘처음 시작하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플랫폼이다. 여성 크리에이터 증가세와 캠톡커의 현실적인 수익 사례는 캠톡만의 접근성과 구조적 강점을 보여주는 결과다”고 전했다.


한편, 캠톡은 최근 정부의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규제 적용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며 유감을 표했다. 현재 구글, 메타 등 글로벌 플랫폼들이 "불법촬영물 사전 차단은 불가능하다"며 사실상 이행 거부 입장을 밝힌 반면, 캠톡을 포함한 토종 앱들은 사전조치 의무를 이행하며 상당한 기술적·재정적 부담을 감내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캠톡 퍼블리셔 비씨이노베이션 박현석 대표는 “정부가 실효적인 플랫폼 육성 의지가 있다면, 공정한 경쟁 환경이 먼저 조성되어야 한다. 캠톡은 자체 시스템을 통해 위험 콘텐츠에 대한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건전한 크리에이터 생태계 유지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이미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지니스코리아 최문희 기자 (pr@businesskorea.co.kr)


출처 : Businesskorea(https://www.businesskorea.co.kr)

이전글 캠톡,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서 인스타그램 제쳐… K-소셜앱 새 역사 쓰다
목록으로

FAMILY SITE

MATENETWORKS

TEL : 1599-7317 E-Mail : wooogooo@nate.com

16, TEHERAN-RO 8GIL, GANGNAM-GU, SEOUR, REPLUBLIC OF KOREA JIHYUN BUILDING, 3RD FLOOR

TOP